본문 바로가기

정리안된것/모바일 웹

#1 모바일 웹 개요

모바일웹개요.pptx
6.66MB

네트워크

네트워크(network)의 사전적 의미는 "전선이나 혈관, 통로 등으로 이루어진 망형 조직"입니다. 간단히 말해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망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은 응용 서비스의 한 종류로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프로토콜이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하기 위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서로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끼리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듯이 네트워크도 동일한 언어, 즉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해야만 네트워크가 가능합니다.

 

TCP/IP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컴퓨터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토콜입니다

인터넷의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하드웨어, 운영체제, 접속 매체에 관계없이 동작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TCP/IP의 계층

 

IP 주소(IP Address)TCP/IP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컴퓨터를 구분하려고 사용하는 주소입니다

숫자로 구성되어 있고 “123.123.123.123” 같이 네 개로 구분된 10진수를 사용합니다.

IP주소 구분과 범위

 

인터넷(Internet)

인터넷은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고유명사로, Internet으로 표기합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 인프라이고 www, email 등은 인터넷 기반 서비스이므로 이를 혼동하지 않아야 합니다.

대포젹인 인터넷 기반 서비스

 

여기서 포트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점입니다 컴퓨터에서 여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합니다

은행의 구분된 업무 창구와 유사한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편하겠습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DNS(Domain Name System)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구분을 위해 사용하는 IP주소 대신 알기 쉬운 이름 형태로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인터넷 서비스/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호스트(컴퓨터) 이름(www) + 도메인 이름(hanb.co.kr) 형태로 구성됩니다.

 ) www.naver.com, www.daum.net 

 

 

DNS 처리 과정

 

DNS 처리 과정

➊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회사(KT, SK브로드밴드, LGU+ )DNS 서버에 도메인 이름을 요청합니다.

➋ DNS 서버는 한빛미디어 DNS 서버인 ns.hanb.co.krwww라는 컴퓨터의 IP 주소 를 요청합니다.

한빛미디어 DNS 서버는 DNS zone file에서 www 컴퓨터의 IP 주소를 찾아서 알려줍니다.

➍ DNS 서버는 다시 요청한 클라이언트에 IP 주소를 알려줍니다.

 

웹 서버와 HTTP

 

■ 서버(Server)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뜻합니다.

웹 서버, FTP 서버,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 클라이언트(Client)

서비스를 이용하는 컴퓨터를 뜻합니다.

PC, 스마트폰, 태블릿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웹 서비스에 사용되는 통신 규격을 뜻합니다.

간단한 명령어와 헤더 규격으로 되어 있습니다.

 

■ HTTP 프로토콜 체험

명령창 에서 telnet www.naver.com 80 입력

GET /index.html  HTTP/1.0 입력 후 엔터

네이버 서버의 index.html 파일을 보내 달라는 요청입니다.

실제 index.html은 서버 설정에 따라 실제 파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동작 과정

➊ 웹 브라우저에서 http://www.xxx.com/index.html입력

www.xxx.com 도메인의 IP 주소를 DNS 서버로부터 받음

➌ IP 주소의 해당 서버 80번 포트로 접속을 시도

웹 서버는 요청 내용을 분석하고 요청된 index.html 파일을 디스크에서 읽음.

웹 서버는 파일 내용을 텍스트 그대로 요청한 클라이언트에 전송.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서 보내는 텍스트 내용 중 HTML 태그를 분석해 적절히 변환하여 화면을 구성.

 

 

■ 서비스의 동작 과정

 

웹 서버 소프트웨어

서버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아파치(Apache), 마이크로소프트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가 대표적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크롬(Chrome), 파이어폭스(Firefox), 애플 사파리(Safari)

대표적인 웹 개발 기술

컴퓨팅 환경의 발달과 웹의 역사

 

이러한 네트워크의 역사를 간단히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1950년대: 메인 프레임(대형 컴퓨터) 출현

■ 1980년대: PC의 출현(마이크로 소프트 사)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시스템으로 발전

■ 1990년대: 인터넷의 발전과 웹시스템 자료 이동 시 플로피 디스켓 등을 이용함

■ 2007년 이후: 스마트폰의 등장과 앱/모바일웹 보편화. (무선망으로 전 세계의 웹에 접속할 수 있게 됨)

■ 2010년 이후:

•4G LTE 등 고속 무선 이동 네트워크 보급,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 보급으로 개인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기기의 사용이 가능해 짐.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서비스를 통한 개인 및 그룹 자료 공유.

 

웹 프로그래밍이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 WWW) 기반에서 동작되는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통신망이 점점 개발됨에 따라서 그에 맞는 컨텐츠(youtube 등)이 점점 실용화 되기 시작했습니다.

 

 

'정리안된것 > 모바일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차 수업 jQuery 명령어 실습  (0) 2019.10.02
#3주차 수업  (0) 2019.09.25
#2주차 가상 디렉토리  (0) 201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