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 preferences에서 general web sever 등을 처리한다.
create dynamic web project로 새 프로젝트를 만든다
next를 누르며 등장하는 각 속성 : context root 웹 주소의 루트를 설정한다
window dml web browser에서 원하는 브라우저 (크롬 등) 으로 설정한다
이클립스 에러 Multiple annotations found at this line: -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이런 에러가 떴었다 해결방법 : https://simuing.tistory.com/168 |
project를 좌클릭해서 properies - web project settings 에서 context root를 바꾸면 URL이 바뀐다.
이제 저번주차에서 받았던 aranoz 폴더를 webcontent에 카피한다. login.html을 복사해서 login header footer jsp 파일을 생성하고 login.jsp파일을 삼등분해서 각각 헤더와 푸터에넣는다. 지시자(맨 윗줄은 건드리지 않고)
<jsp:include page="footer.jsp" flush="false"/> : 액션태그 <%@ include file="footer.jsp" %> : 디렉티브 태그 |
헤더파일에 있던 html 주소값들은 모두 jsp로 변경해준다
서블렛('자바 기반' 웹 기술)
jsp를 요청하면 서블렛파일이되고 서블릿이컴파일되고 서브릿클래스가되어서 실행이된다.
인클루드 지시자는 톰캣이 컴파일 시에 문서 자체에 컴파일되고 (자주 안바뀔때 사용)
인클루드 액션은 따로 컴파일을 따로 해서 불러온다. (자주 바뀔때사용)
src에 class와 서블렛을 만들어 비교해본다.
mvc 모델에서 contoller는 대체적으로 서블렛을 사용한다
URI (통합 자원 식별자)
- URL
- URN
view.jsp |
|
MemberContoller.java(서블렛파일) | |||
|
login.jsp( aranoz에서 가져온 파일) | |||
|
'정리안된것 > 웹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주차 수업 (0) | 2019.11.07 |
---|---|
#6 주차 수업 (0) | 2019.10.17 |
#4주차 수업 post 방식과 get방식의 차이 (0) | 2019.10.03 |
#2주차 웹 애플리케이션 (0) | 2019.09.19 |
#1주차 수업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이해 (0) | 2019.09.05 |